윷놀이,널뛰기 등을 하고 복조리를 걸기도 하며,사람들끼리 서로 덕담을
주고받고 세배를 합니다.
낯설다. "라는 말의 어근인 " 설 "" 새해에 대한 낯설음 " 이라는 의미와
" 아직 익숙하지 않는 날 "이란 뜻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한다.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익숙하지 못한 그러한 단계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 " 선날 "이 시간이 흐르면서 연음화 되어 설날로 와전되었다는 것이다.
신일(愼日)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인간의 모든 언행을 삼가고 조심하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생긴 말이다. 한편 설날은 원일(元日), 원단(元旦), 정조(正朝),
세수(歲首),세초(歲初),세시(歲時),연두(年頭),연시(年始)등의 한자어로도 불린다.
대에는 중국에서 역술을 익혀와 조력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사실에서도 우리민족이 고유한 역법을 가졌을 가능성을 충분히 추측할 수 있다.
관한 기록을 찾을 수 없는 상황이다.
태양력을 기준으로 제정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9대 명절로 삼았으며, 조선시대에는 설날과 한식,단오, 추석을 4대 명절이라
하였으니, 이미 이 시대에는 설이 오늘날과 같이 우리민족의 중요한 명절로
확고히 자리 잡았음을 알 수 있다.
야광 귀쫓기,청참, 윷놀이, 널뛰기, 머리카락 태우기 등 종류가 상당히 다양하다.
제상 뒤에는 병풍을 둘러치고 제상에는 설음식을 갖추어 놓는다.
<평절에 대해 반절로 답배를 하는 모습.>
설날 차례를 마친 뒤 조부모, 부모에게 절하고 새해 인사를 올리며, 가족끼리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절하는데, 이를 세배(歲拜)라 한다.
이웃 어른들을 찾아가서 세배를 드린다.
* 절할 때 남자는 왼손·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포개
아이들에게는 세뱃돈과 떡, 과일 등을 준다.
정월 초하룻날 아침에는 남녀노소 구분 없이 모두 일찍 일어나 세수하고
새 옷을 입는데,이를 설빔(歲粧)이라 한다.설빔은 대보름까지 입는 것이 보통이다.
"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 " 새해에는 아들 낳기를 빕니다." 등과 같이
그 사람의 신분 또는 장유(長幼)의 차이에 따라 소원하는 일로
여자의 큰절. 여자의 평절
|
. |
남자의 큰절. |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10_20_4_32_05DKW_IMAGE_4_452.jpg%3Fthumb&filename=452.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6%2F10_20_4_32_05DKW_IMAGE_4_496.jpg%3Fthumb&filename=496.jpg)
![](http://kimje.newsk.com/pds/703/news/20080130203415.jpg)
![](http://www.mjm.co.kr/mjm/blog/perblog/upload/3675/AP4A20.jpg)
![](http://www.mjm.co.kr/mjm/blog/perblog/upload/3675/AP7B59.jpg)
![](http://www.mjm.co.kr/mjm/blog/perblog/upload/3675/AP4966.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planet%2Ffs12%2F7_29_9_1_4vhS0_10871334_2_279.gif%3Fthumb&filename=6.gif)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planet%2Ffs11%2F7_29_9_1_4vhS0_10871334_2_226.gif%3Fthumb&filename=1.gif)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planet%2Ffs11%2F7_29_9_1_4vhS0_10871334_2_227.gif%3Fthumb&filename=2.gif)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휴대전화로 할수있는 51가지 작업들 (0) | 2014.02.06 |
---|---|
잘 보관하시고 활용하세요 (0) | 2014.01.31 |
휴대전화로 할 수 있는 50가지 작업들 (0) | 2014.01.30 |
[스크랩] 교통카드의 비밀... (0) | 2014.01.19 |
왜 제사는 4대까지 지낼까? (0) | 201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