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어원
1.`노들강변`의 어원 버드나무가 휘휘 늘어진 어느 강변을 연상하지 않습니까? `노들강변 봄버들 휘휘 늘어진 가지에`의 민요가 그러한 인상을 주게 하지요. 아마도 `노들`이 `버들`을 연상시키나 봅니다. 그래서 어느 곳이든 이러한 풍경이 있는 강변이면 `노들강변`으로 생각하기 쉽지요. 하지만 실제 `노들강변`은 보통명사가 아니라 고유명사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노들강변`은 서울의 `노량진` 나루터를 말합니다. 현재 서울의 흑석동에 있는 국립묘지 근처에 있던 나루터를 말합니다. 여러분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왜적과 싸우시던 `울돌목`을 아시겠지요? 이 `울돌목`은 한자어로 `명량(울명, 돌량)`이라고 하지요. 이 `명량`의 `명`은 `울 명`자이고요. ` 량`은 원래 `돌량`입니다. 이 `돌`은 충청도 방언에 `똘, 또랑`으로도 사용하고 있지요. `노량`의 `량`도 `돌량`입니다. 그래서 `노량(이슬노, 돌량)`은 `노돌`이라고 했지요. 그러던 것이 `노들`로 변화를 했습니다. 그래서 `노량`이 `노들`로 변하고 거기에 `강변`이 덧붙은 것입니다. 이 `노들강변`은 옛날에 서울과 남쪽 지방을 잇는 중요한 나루였습니다. 그래서 이 `노들강변`은 애환이 많이 깃든 곳입니다.
`성냥`의 어원 원래는 한자어였습니다. 즉 `셕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어서 `성냥`이 된 것입니다.
.애국가 가사 중의 `바람서리`의 뜻 "남산위의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 라는 가사가 나옵니다. 이 중에 `바람서리`를 간혹 `바람소리`로 잘못 알고 계신 분도 많습니다. 그러나 `바람서리`입니다. 그 뜻은 `풍상`이란 뜻입니다. 즉 ` 바람 풍, 서리 상`이지요. 즉 `풍상에 불변함은`이란 것인데, 조사인 `-에`가 생략되었습니다.
.애국가 가사 중의 `남산`의 뜻 어느 고장을 가나 `남산`은 있습니다. 서울의 남산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 `남산`은 `남쪽에 있는 산`으로 알고 계신 분이 많습니다. 지금은 `남쪽`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원래 `남`은 `앞 남`이었습니다. 즉 `남산`은 `앞산`이란 의미입니다. ` 앞에 있는 산`이 곧 `남산`입니다. 그리고 `북`은 `뒤 북`이었었습니다. 그래서 `북망산`에 간다는 것은 `뒷산`의 묘지로 가는 것을 말합니다.
5.`곰보`의 어원 그런 분을 속칭 `곰보`라고 하는데, 이것은 `곪다`의 `곪-`에 접미사 `-보`가 붙어서 된 말입니다. 그래서 그 어원을 잊어 버리고 그냥 `곰보`라고 하고 있습니다. `곪-`의 발음이 `곰`이 되기 때문입니다.
. `어른`의 원래 뜻 ` 어른`을 `성인`으로 이해하고 있지요? 그런데, 본디 `어른`은 `얼운`이라고 했습니다. 이것은 `얼우다`의 어간 `얼우-`에 명사형 접미사가 붙은 말로 ` 얼우다`는 `성교하다`라는 뜻을 지닌 말입니다. 따라서 `얼운`은 `혼인한 사람`이란 뜻입니다. 그러므로 현대국어의 `어른`은 ` 혼인한 사람`만을 뜻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어린이`라는 말은 소파 방정환 선생님이 처음 만든 말이라고 하지만, 그것은 잘못 알려진 것입니다. 옛 문헌을보면 `어린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다만 이 때는 `어리석은 사람`이란 뜻으로 쓰였다가 소파가 `어린 사람`이란 뜻으로 부르기 시작한 것입니다.
`스승`과 `화냥년`의 어원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매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 무격`이란 한자어가 있지요. ` 무`는 `여자무당`을, `격`은 `남자무당`을 말합니다. 그런데 옛 문헌을 보면 `무`를 `스승 무` ` 격`을 `화랑이 격`이라 되어 있습니다. 결국 `스승`이란 `여자무당`을 말하던 것이었습니다. 그런데`여자무당`은 고대사회의 모계사회에서 대단한 지위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지금도 인디안 영화나 아프리카 영화를 보면 추장보다도 더 높은 지위에 있었던 사람은 제사장입니다. 결국 `스승`은 임금의 선생님이었습니다. 그래서 임금님의 선생님을 한자어로는`사부`라고 하는데, ` 사`자도 `스승 사`, `부` 자도 `스승 부`입니다. 결코 `선생 사, 선생 부`라고 하지 않습니다. `여자무당`이 ` 임금의 선생님`으로 그 의미가 변화하였고, 이것이 오늘날 일반화되어 `스승`이 되었습니다.
`남자무당`인 `화랑이 격`은 오늘날 ` 화냥년`이라는 못된욕을 할 때 사용하는 말로 변화했습니다. 이 `화랑이 격`의 `화랑`은 신라시대의 `화랑`과 같은 것으로 보입니다. ` 남자무당`도 고대사회에서는 중요한 귀족 중의 하나였습니다. 신라 향가인 `처용가`에 나오는 `처용`도 `화랑`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 남자무당은 여자무당에 비해 그 위세가 약합니다. 오늘날의 무당의 세계도 일처다부제가 보이기도 할 정도이니까요. 처용이 아내가 다른 남자와 동침하는 것을 보고 물러나올 수밖에 없었던 것도 알고 보면 쉽게 이해가 가는 대목이지요. 그래서 남자무당은 이 여자무당, 저 여자무당을 찾아다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행실이 좋지 않은 사람을 `화냥이`라고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남자에게 쓰이던 것이 여자에게 사용된 것이지요. 간혹 `화냥`을 `환향`, 즉 `고향으로 돌아오다`라는 의미로 해석해서, 청나라에 끌려갔던 여인들이 몸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 왔다고 해서 붙인 이름인 것처럼 알고 있는 분도 있으나, 그것은 민간인들이 만들어낸 어원입니다.
.`지어미`와 `지아비`의 어원 특히 한자의 뜻과 음에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부`를 `지어미 부`로 알고 있는데, 이때에 `아비, 어미`는 그 뜻을 쉽게 알 수 있지만, `지`의 뜻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원래 `집`의 소유격형은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었습니다. 19세기말에 와서 `짓`이 `지아비, 지어미`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지아비, 지어미`의 본디 뜻은 `집아비, 집어미`인 셈입니다.
`결혼하다`와 `혼인하다`의 뜻 차이 즉 marriage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옛날에는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다른 뜻이었었습니다. 즉 `혼인하다` 는 오늘날 쓰이고 있는 것과 같은 의미였지만, ` 결혼하다`는 다른 뜻이었습니다. 이 문장의 의미는 `철수`의 자손과 `복동`의 자손이 `혼인`할 것을 결정하였다는 뜻이었습니다. 따라서 남자와 남자, 그리고 여자와 여자끼리 결혼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일본어에서는 `결혼하다`가 오늘날 남녀 혼인의 뜻으로 쓰이고 있는데, 이것이 우리 국어에 들어 온 것입니다. 그래서 예식장에 `결혼예식장`과 `혼인예식장`이란 명칭이 다 보이지요? `혼`은 `신부집`을 말하고 ``인`은 신랑집을 말한 데에 기인합니다. 옛날에 혼인을 할 때에는 신랑이 `혼` 즉 신부집으로 먼저 가서 예식을 올립니다. 즉 `장가`(장인의 집)를 가지요. 그리고 사흘 뒤에 신부를 데리고 `인`(즉 신랑집)으로 옵니다. 즉 신부는 `시집`을 가지요. 그래서 `장가가고 시집간다`는 말이 나온 것입니다.
16.`고뿔`과 `감기`의 어원 옛날에는 모두 `고뿔`이라고 했습니다. 이 `고뿔`은 마치 `코`에 `뿔`이 난 것처럼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실제로 이것은 `코`에 `불`이 난 것입니다. 즉 `코`에 열이 난다는 뜻이지요. 이전엔 `곳블`이었습니다. 즉 `코`를 뜻하던 옛날말인 `고`에 `불`(되었던 것인데, 원순모음화가 되어 `곳불`이 되고 다시 `뒤의 `불`이 된소리로되어 (마치 `냇가`가 실제 발음으로는 `내까`가 되듯이) `고뿔`이 된 것입니다. 그런데 최근에 와서 한자어인 `감기`가 이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는데, 이 `감기`란 한자말은 `복덕방``사돈`, `사촌` 등처럼 우리 나라에서 만든 한자어입니다. 혹시 일본어에서 온 것은 아닌가 하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일본어에서는 감기를 `풍사(바람 풍 사악할 사)`라고 하니깐요.
`거지`와 `x지`의 어원 이 `거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어떤 책을 보니까, `거지`는 `걷다`(거두어 드린다)의 `걷-`에 사람을 나타내는 접미사인 `-이`가 붙어서 `걷이`가 되었는데, 이것이 구개음화되어 `거지`가 되었다고 써 놓았더군요. 하지만 이것은 우리말의 옛날 형태를 모르는 데에서 온 실수입니다.
옛날 문헌을 보면 `거지`는 `거아(아래아 자)지`로 되어 있었습니다. 그것은 중국어 `걸자`(빌 걸, 아들 자)의 중국어 발음을 그렇게 써 놓은 것입니다. `걸`에 접미사인 `자`가 연결된 단어입니다. `자`는 중국어의 접미사인데, 우리말에 와서는 두 가지 음으로 읽혔습니다. 하나는 `자`이고 또 하나는 `지`입니다. ` 판자`는 `판자집`일 때에는 `판자`이지만,` 널판지`일 때에는 `판지`로 읽습니다. ` 주전자, 감자, 사자, 탁자` 등의 `자`는 `자`로 읽지만, ` 가지(식물의 하나), 간장종지, 꿀단지` 등의 `자`는 `지`로 읽습니다. 남자와 여자 생식기의 이름인` `-자`가 붙은 것인데 모두 `도 결국은 한자어입니다.
19. `양말`의 어원 한자에서 온 말이라고 하면 깜짝 놀라시겠지요.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한자어입니다. 원래 버선을 한자로 `말`이라고 했습니다. `버선 말`자이지요. 그런데 서양에서 이 버선과 비슷한 것이 들어오니까 버선을 뜻하는 `말`에 `양` 자를 붙여서`양말`이라고 했습니다. 버선하고 양말이 이렇게 해서 달라졌던 것입니다. 이렇게 서양에서 들어 왔다고 해서 `양` 자를 붙이거나 `서양`을 붙여 만든 단어들이 꽤나 있습니다. 그 예가 무척 많음에 놀라실 것입니다. 그래서 이제는 그 뜻도 잘 모르게 변한 것들도 많습니다. 몇 가지를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총각`의 어원 무척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 혼인할 나이가 된 성인 남녀를 지칭할 때에는 `처녀` `총각`이란 한자어를 사용합니다. 그 중에서 `처녀`는 그 단어 속에 `여`가 들어 있어서 그 뜻을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지만, 아마도 `총각`은 그 어원을 전혀 짐작하지 못하실 것입니다. 한자인 `총`은 지금은 `다 총` 등으로 `모두`라는 뜻을 나타내고 있지만, 원래는 `꿰맬 총`, `상투짤 총` 등으로 쓰이던 것입니다. `각`은 물론 `뿔 각`이고요.
중국에서나 우리 나라에서 아이들이 머리를 양쪽으로 갈라 뿔 모양으로 동여맨 머리를 `총각`이라고 했었습니다. 이런 머리를 한 사람은 대개가 장가가기 전의 남자였습니다. 그래서 그러한 머리를 한 사람을 `총각`이라고 한 것이지요. 옛날에는 어린 소년들에게도 `총각!`하고 불렀습니다. 이것을 마치 어린 소년을 높여서 부르는 것처럼 생각한 분은 안 계신지요? 여기에서 `더벅머리 총각`이라는 말도 생겼지요. 어떤 사람은 `떡거머리 총각`이라는 말도 쓰는데, 이때의 ` 떡거머리`가 무엇을 나타내는 말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어느 사전에도 `떡거머리`란 단어는 보이지 않습니다.
여기에 연유해서 생긴 단어가 또 있습니다. 그것은 `총각김치`란 말입니다. ` 총각김치`는 여러분들이 잘 아시듯, 손가락 굵기만한 어린 무우를 무우청째로 여러 얌념에 버무려 담은 김치를 말하는데, 그 어린 무우가 마치 `총각`의 머리와 같은 모습을 닮아서 생긴 단어입니다. 그런데 처녀들은 그 `총각김치`란 단어 자체나 또는 실제의 김치를 기피하곤 했었습니다. 그 총각김치가 마치 총각의 생식기를 형상하는 것에서 생긴 것으로 착각했던 것이지요. 그러나 그런 것이 절대 아니니, 처녀들은 이제 아무런 부끄러움 없이 총각김치를 드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딴따라패`와 `깡패`의 어원 연예인들을 `딴따라패`라고 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이전에는 곧잘 `딴따라패`라고 얕잡아 부르곤 했습니다. 언뜻 들어도 `딴따라`가 나팔 부는 소리와 같아서 연예인들의 행동을 나타나게 되었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 빠른 속도로 번져 나갔었습니다. 옛날의 풍각쟁이들처럼 그 행렬의 앞에서 북치고 장구치는 사람들을 연상했을 테니까요.
이 `딴따라`가 우리 국어의 의성어에서 온 것 같지만, 실상은 영어의 의성어에서 온 것입니다. 영어의 `tantara`의 음을 빌려 온 것이지요. 나팔이나 뿔나팔 등의 소리를 말합니다. 그래서 이 소리를 빌어 와서 `딴따라`라고 하였습니다. 어쩌면 이들을 국어의 의성어 `딴따라`로 해석하는 사람도 있지만, 국어에서는 `딴따라`라는 의성어는 없습니다. 이처럼 의성어는 언어마다 유사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영어에서 `flag`는 `깃발`을 뜻합니다. 그런데 이것은 국어의 `펄럭펄럭`을 연상시키지요? 물론 영어의 `flag`는 의성어에서 온 단어입니다.
영어를 빌어 온 단어 중에서 우리가 늘 쓰는 것중에 `깡패`란 말이 있습니다. 폭력을 쓰면서 못된 짓을 하는 사람들을 말하지요. 이 `깡패`에 대해서는 대체로 두 가지 어원설이 있습니다. 하나는 해방 뒤에 미국 사람들이 우리나라에 들어 오게 되고, 이들의 통조림통인 `can`에다가 한자어인 `통`을 붙인 ` 깡통`을 거지들이 이용하면서, 이들 못된 짓을 하는 `거지패`들을 `깡패`라고 했다는 설이고,
또 하나는 영어의 `gang` 즉 `깽`을 일본에서 `걍구`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국어에 들어와서 `패거리`의 `패`를 붙여서 이들을 `깡패`라고 하였다는 설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후자가 더욱 그럴 듯합니다. 왜냐하면 `깡으로`(억지스럽게)등의 단어가 쓰이기 때문입니다.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들이여!! 이것이 여자다... (0) | 2014.10.18 |
---|---|
스마트폰 사용하기 (0) | 2014.09.19 |
제사를 모실 때 보면 (0) | 2014.09.08 |
[스크랩] 재미있는 상식모음 (0) | 2014.09.02 |
◈ 첫째 國旗 태극기 입니다 (0) | 2014.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