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독차관사절단
백영훈씨 증언
-‘50년전 경제부흥의 초심’에서 배운다 -
박정희 통역관
한국 경제개발의 종잣돈이 된 서독 상업차관을
끌어들이는 데 결정적 공헌을 한 백영훈 원장
.1961년 5월 16일 군대를 앞세워 집권한 박정희는
‘하면 된다’는 의지만 확고하면
무엇이든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경제’는 의욕만 갖고 되는 일이 아니었다.
집권하며 내걸었던 공약대로
절망과 기아선상에서 허덕이는 민생고를
해결하고자 하는 열망은 강했지만
안타깝게도 ‘돈’이 없었다.
5·16군사정변 직후인
5·16군사정변 직후인
1961년 11월 미국의 원조를 기대하고
존 F 케네디 대통령을 찾아간 그는
문전 박대당한다.
미국 측에서 보기에, 준비해 들고 간 사업계획서들이
황당하기도 했지만 당시 케네디 정부는
5·16군사정변 자체를 곱지 않은 눈길로 보고 있었다.
거기다 한국에 돈을 빌려 주면 쿠데타를 인정하는 꼴이 되고
이로 인해 아시아 전체로 쿠데타가 파급될지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 무렵베트남, 말레이시아, 필리핀에서 연이어
쿠데타 조짐이 일고 있었다.
미국 금융기관들도 야박하게 퇴짜를 놓기는 마찬가지였다.
미국 금융기관들도 야박하게 퇴짜를 놓기는 마찬가지였다.
겉으로는 무상 원조를 주고 있는 나라에 차관까지 주는 것이
말이 안 된다고 했지만 속으로는
한국의 미래를 불신하고 있음이 역력했다.
미국 다음으로 기댈 수 있는 나라는 일본밖에 없었지만
‘국교도 없는 나라에 어떻게 돈을 빌려 주느냐?’고 하니
할 말이 없었다.
박정희는 새로운 나라를 주목하고 있었으니
박정희는 새로운 나라를 주목하고 있었으니
바로 ‘라인 강의 기적’으로 불리며
신흥 강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던 서독이었다.
서독 경제는 1950년부터
매년 연평균 8%대의 실질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었다.
우리처럼 분단국가의 아픔, 패전의 상처를 딛고
당당하게 일어서는 서독의 모습을 보며
박정희는
‘우리도 전쟁의 잿더미에서 한강의 기적을 이뤄 보자’라는
각오를 갖게 되었다.
박정희 군사정부는
1961년 11월 말 정래혁 상공부 장관을 주축으로
‘차관 교섭 사절단’을 구성해 서독으로 보내기로 했다.
그런데 주독(駐獨) 대사관에도, 사절단에도
독일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이 없었다.
수소문 끝에 알아보니
이승만 대통령 시절 국비 유학생으로
서독(뉘른베르크 에를랑겐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고
귀국한 독일 경제학 박사 1호
백영훈 씨(83·현 한국산업개발연구원장)가
안테나에 걸렸다.
그는 중앙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다.
백 원장은 사절단의 공식 통역관으로 합류한다.
사절단은 서독에 도착하긴 했지만
백 원장은 사절단의 공식 통역관으로 합류한다.
사절단은 서독에 도착하긴 했지만
관료들 중
누구도 한국 사람들을 만나 주려 하지 않았다.
“당시 우리 처지는
지금으로 치면 아프리카 최빈국 같은 나라였다.
듣도 보도 못한 가난한 나라에서 차관 교섭 사절단이라고
갑자기 찾아와 돈을 빌려 달라고 하면 누가 만나 주겠는가?”
당시 서독의 경제장관은
당시 서독의 경제장관은
2년 뒤 총리가 되는 루트비히 에르하르트였다.
백 원장은 궁리 끝에
에르하르트 장관과 같은 대학을 나온
자신의 대학 은사를 찾아갔다.
“한국의 딱한 사정을 이야기하면서
장관을 만나게 도와 달라고 사정했지만
은사 역시
도와줄 수 없다는 이야기만 되풀이했다.
나중엔 집에 오는 것조차 반기지 않았다.
결국
매일 아침 6시 교수 댁 앞으로 가서
사모님이 밖으로 나올 때까지 기다리다
마주치면 눈물로 호소했다.
‘사모님, 저를 살려 주세요. 장관님 좀 만나게 해 주세요.’”
그렇게 일주일이 지나자 은사에게서 연락이 왔다.
그렇게 일주일이 지나자 은사에게서 연락이 왔다.
“차관과의 약속을 잡았다”는 것이다.
1961년 12월 11일 한국 사절단은
1961년 12월 11일 한국 사절단은
마침내 루트거 베스트리크 차관과 만난다.
그리고 이튿날에는 장관까지 만날 수 있었다.
한국은 마침내
1억5000만 마르크(당시 3000만 달러)의 상업차관을
빌리는 데 성공한다.
사절단은 얼싸안고 눈물을 흘렸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의 상업차관이었다.
사절단은 귀국하고 백 원장은
사절단은 귀국하고 백 원장은
뒷마무리를 위해 독일에 남기로 한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은행의 지급 보증이 있어야 했던 것이다.
한국의 재무부를 중심으로 해외 은행들을 수소문했지만
국가 신인도가 없었던 한국에
지급 보증을 해 주겠다는 나라는 없었다.
기적적으로 성공한 차관 협상이 물거품이 되어 버릴지
모르는 상황이었다.
다시 백 원장의 말이다.
하인리히 뤼브케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마치고
독일 최고훈장인 특등십자대공로훈장을 받은
박정희 대통령.
한국 정부도 서독 대통령 내외에게
대한민국 최고 훈장인
무궁화대훈장을 수여했다.
“못사는 나라 국민의 심정이 얼마나 가슴 찢어지는 일인지
당해 보지 않은 사람은 모른다.
나는 매일 울면서 독일 친구들을 만나러 다녔다.
‘돈 꾸러 왔는데
지급보증 서 주는 데가 없어 돈을 가져 가지 못하고 있다,
이번 일을 성공시키지 못하면
나는 독일에서 그냥 죽어버릴 것’이라고 했다.
어느 날 소식을 들었는지 대학에서 같이 공부했던 친구
슈미트가 찾아왔다.
그는 당시 서독 정부에서 노동부 과장으로 일하고 있었다.”
슈미트 과장은 대뜸 백 원장에게
슈미트 과장은 대뜸 백 원장에게
“너희 나라 길거리에 실업자가 많지 않으냐?”고 물었다.
백 원장은 “그런데?”라고 되물었다.
슈미트 과장은 다음 날
두꺼운 서류 뭉치를 들고 다시 나타났다.
“지금 서독은 탄광에서 일할 광부가 모자란다.
“지금 서독은 탄광에서 일할 광부가 모자란다.
웬만한 데는 다 파내 지하 1000m를 파고 내려가야 하는데
'역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라미드를 공개하지 않는 중국 정부 (0) | 2015.01.29 |
---|---|
♣ 정주영과 거북선 지폐 ♣ (0) | 2015.01.26 |
정부는 금년 1월1일을 기해 '독도영상'을 공개했습니다. (0) | 2015.01.22 |
ㅡ (100년전한국기록영화 )- (0) | 2015.01.22 |
[스크랩] 전곡 선사유적지 (0) | 201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