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자료

계철의 별칭, 절후의 별칭

청 송 2011. 7. 15. 22:35

 

계절의 별칭

()

청양(靑陽) 창천(蒼天) 청제(靑帝) 청황(靑皇) 동제(東帝) 동군(東君)

()

주명(朱明) 호천(昊天) 괴서(槐序) 염서(炎序) 염절(炎節) 번계(蕃季)

()

백장(白藏) 민천(旻天) 수성(收成) 금상(金商) 소상(素商) 고상(高商) 정양(精陽)

()

상천(上天) 현영(玄英) 엄절(嚴節) 원동(元冬) 현명(玄冥) 폐장(閉藏)

 

절후(節侯)의 별칭

11

원단(元旦), 정단(正旦), 원조(元朝), 정조(正祖), 원진(元辰)

115

정월대보름, 상원(上元), 원소(元宵), 원석(元夕)

21

중화절(中和節) - 조선조 22대 정조때부터 말기까지 행하던 풍속의 하나. 이날이 되면 어전에서 임금이 자()를 재상과 근신들에게 나눠주어 중화절임을 아리었는데, 임금이 자를 나누어 주는 뜻은 농업에 힘쓰게 하려는 것이라 함. 또한 각 농가에서는 새알 볶아라 쥐알 볶아라, 콩 볶아라 하면서 콩을 볶아 먹는데, 이는 새와 쥐가 없어져서 곡식을 축내는 일이 없도록 하는 일종의 주술적인 말이었다.

212

화조(花朝) - 중국 당대(唐代)에 모든 꽃의 생일날로 215일을 정하여 기념하였는데 후에 212일로 바뀌었다.

33

삼짓날, 중삼(重三), 상사(上巳), 영절(令節)

48

연등절(燃燈節)

55

수릿날, 단오(端午), 단양(端陽), 천중절(天中節), 중오(重五), 주색(朱索), 포절(蒲節), 오절(午節)

615

유두(流頭) - 맑은 물에 목욕하고 하루를 정결하게 보내며, 유두면, 수단, 건당, 연병 등의 음식을 만들어 먹음
매우(梅雨) - 6월 중순부터 7월 상순까지 계속되는 장마를 이르는 말. 매화나무 열매가 익을 무렵에 지는 장마라는 뜻임. 매림(梅霖) 미우(黴雨)

77

칠석(七夕), 성절(星節)

715

중원(中元), 백종(百種), 백중(百衆), 망혼일(亡魂日)

815

한가위, 중추(仲秋), 추절(秋節), 가배일(嘉俳日)

99

중양(重陽), 중구(重九), 중력(重力), 국화절(菊花節)

1230

섣달그믐, 제석(除夕)

하지(夏至)

장지(長至)

동지(冬至)

남지(南至), 지월(至月), 지절(至節)

중삭(仲朔)

, 여름, 가을, 겨울에서 가운데 달들을 두루 이르는 말.
곧 음력 2, 5, 8, 11월을 뜻하며 중월(仲月)이라고도 한다

'일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요자료종합  (0) 2011.07.20
만물상  (0) 2011.07.16
설화감상  (0) 2011.07.15
이십사절후표  (0) 2011.07.15
[스크랩] Egypt, Cairo (우리 민족에게 잊을수 없는 카이로 회담)  (0) 2011.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