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삼국시대의 후백제의 건국과 멸망에 대해 알아볼겁니다!
1.부패해진 통일신라
삼국을 통일한 신라!
한반도는 안정을 찾는듯했지만..
탐관오리들의 부정부패로 물들고,민심을 잃어갔습니다.
특히,장보고 살해 사건이후 더 민심을 잃었습니다!
2.장보고 살해 사건
무역왕 겸 바다의 왕자,장보고!
그는 청해진을 세워 무역장사를 하고,왜구들도 무찔렀습니다.
그러나 그를 시기하는 간신들이 그의 부하,염장을 뇌물로 꼬드기고,염장은
스스로 믿고 따르던 장보고를 죽였고,청해진을 폐지했습니다.
당시 거의 유일하게 백성들이 따르던 장보고가 죽자,민심은 더 줄어들었습니다.
3.가난한 농부의 아들,견훤
그러던 어느 신라의 가난한 마을,아자개의 아들,견훤이 있었습니다.
견훤은 장군감이었지만,농부의 가난한 아들일 뿐이었습니다.
아자개와 견훤형제들도 신라의 간신들에게 피해를 받았습니다.
견훤은 신라의 부정부패를 깨닫고,큰 결심을 합니다!
4.군인에서 왕이되다.
견훤은 신라를 지키는 서라벌(경주)의 군인이 되서 나라를 지키고,가난도 피하려했습니
다.
그러나 견훤이 속한 부대의 장군도 부패한 간신이었고,그걸 깨딸을 무렵에 넷째 동생
능예가 찾아왔습니다! 능예가 전한말은..
그 형제의 아버지,아자개가 민란을 일으켰다는 소식이었습니다!
견훤은 능예를 보낸 다음,그 장군을 죽인 뒤,부대를 이끌며,수많은 간신과 탐관오리들
을 죽여갔습니다!
견훤은 결국 신라를 대신할 나라를 세웁니다.
바로 의자왕 때 멸망한 백제를 계승한 나라,후백제였습니다!
한편,그러던 중 견훤은 네명의 아들을 낳았습니다.
그 아들들간에 피바람이 일어날 줄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5.끓임없는 궁예와의 전쟁
견훤이 후백제를 세울 무렵,승려장군 궁예도 고구려를 계승한 후고구려를 세웠습니다.
궁예 역시 신라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신라,후고구려,후백제로 이루어진 후삼국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궁예는 후고구려로 후삼국을 통일하기 위해,견훤 역시 통일을 위해 서로 수많은 전쟁을
벌였는데요.
후고구려 측에는 상인 출신의 왕건장군이 있었습니다!
6.왕건
권훤 이야기에서 제일 중요한 인물!
상인 왕륭의 아들이며,훗날 고려의 왕이 되는인물입니다!
왕륭 역시 부정부패로 물든 신라를 걱정했고,아들 왕건을 궁예에게 보내 뜻을 함께 하
도록 했습니다!
왕건은 후고구려의 최고장군에,궁예의 의형제까지 겸하면서,후고구려에서 유명해졌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궁예의 독재가 시작됩니다!
7.궁예의 관심법
궁예는 본인이 미륵이라고 믿게되고!
이른바 <관심법>을 발표합니다.
궁예는 미륵이라서 모든 사람의 마음을 꽤뜷어볼수있다는 미친 헛소리 미신입니다!
궁예는 그 미신을 앞세워 맘에들지않는 관리들과 심지어 왕비와 자식들까지 죽였습니
다.
왕건도 역적으로 몰렸다가 인정해서 겨우 살았습니다.
왕건은 반란 을 계획합니다!
8.궁예를 몰아낸 왕건
왕건은 결국 반란을 일으킵니다.
궁예는 쫓겨나고,918년,알수 없는 곳에서 의문살해를 당합니다!
왕건은 새 나라 고려를 세우고,자신을 태조라 칭했습니다.
9.신라를 공격하다.
이제 다시 후백제 이야기로 돌아갑시다!
견훤은 고려건국 소식을 듣고 고려에 대한 약간의 두려움을 느꼈습니다.
거의 매번 자신의 군대를 이겼던 장군이 이젠 왕이 되었으니까요.
게다가 민란을 일으켰던 아버지 아자개가 고려에서 병으로 죽으니 분노도 같이 느꼈지
요.
견훤은 원래목표였던 신라를 먼저 공격합니다!
신라 55대 경애왕은 갑작스런 후백제의 공격에 당황하고,결국 살해당했습니다!
그러나 견훤은 경애왕의 사촌,김부를 임시 56대 경순왕으로 세웁니다!
훗날 고려 말,이성계가 임시로 고려의 공양왕을 세운 것과 비슷한 사례입니다!
한편,후백제는 태자를 정할시기가 되었고,네명의 왕자들 중에 첫째 신검이 태자 즉위
를 원했습니다!
10.계속되는 패배와 태자 금강
고려와 후백제의 전투가 시작됩니다!
그러나 왕건이 선봉에 섰기때문에,역시나 거의 매번 후백제가 패배하였습니다.
한편,후백제의 어느 날,견훤은 태자를 정했습니다!
놀랍게도 신검이 아닌 막내 금강이었습니다!
'역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조는 독살됏나? (0) | 2019.12.11 |
---|---|
광개토왕 청동호우 왜 경주에 묻혔나 (0) | 2019.12.08 |
대왕암 (0) | 2019.12.06 |
조선왕조계보 (0) | 2019.11.29 |
DC 인도차이나, 컬러로 보는 어느 민족의 전쟁 1 (0) | 2019.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