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blogfile/fs2/36_blog_2007_07_11_09_20_46942209b18ca?x-content-disposition=inline&filename=블=9면 맛집=흑두부-1.jpg)
하지 후 셋째 경일(庚日)을 초복, 넷째 경일(庚日)을 중복,
입추 후 첫 경일(庚日)을 말복이라 하여,
이를 삼경일(三庚日) 혹은 삼복 이라 한다
복날은 10일 간격으로 오기 때문에
초복과 말복까지는 20일이 걸린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2/31_blog_2007_07_11_09_20_469421c8ed889?x-content-disposition=inline&filename=블-전복해물나라-낙삼탕.jpg)
해에 따라서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되기도 하는데,
이를 월복(越伏)이라고 한다.
복의 어원에 대해서는 신빙할 만한 설이 없다.
다만 최남선의《조선상식(朝鮮常識)》에 의하면
서기제복(暑氣制伏)'이라는 뜻으로 풀이되고 있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2/30_blog_2007_07_11_09_20_469421ec348f1?x-content-disposition=inline&filename=블-9면사진 맛집-행랑채 모든음식.jpg)
복은 원래 중국의 속절로
진(秦)·한(漢) 이래 매우 숭상된 듯 하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동국 세시기》의 기록에 의하면
"상고하면《사기(史記)》에 이르기를
진덕공(秦德公) 2년에 처음으로 삼 복 제사를 지냈는데,
성 4대문 안에서는 개를 잡아
충재(蟲災)를 방지했다고 하였다.
"라는 내용이 전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2/16_blog_2007_07_11_09_20_46942233e09cc?x-content-disposition=inline&filename=블=닭도리탕.jpg)
이로 보아 삼복은 중국에서 유래된 속절로 추측된다.
복은 1년 중 가장 더운 기간으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어도의 진실 (0) | 2012.08.23 |
---|---|
[스크랩] 깜빡하기 쉬운 漢字 表記 (0) | 2012.08.21 |
[스크랩] 교통카드의 비밀 (0) | 2012.08.19 |
[스크랩] 개정된 영문 표기표 (0) | 2012.08.14 |
[스크랩] 통계로 본 자랑스런 대한민국 (0) | 2012.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