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 쪽에서 본 부서진 한강 철교
이때 무수한 양민이 죽었다.
▲ 1950.10.22. 평양, 북한주민의 학살현장. 누가 그들을 죽였을까 !!
피해 상황
대한민국:
• 전사 : 58,127명
• 부상 : 175,743명
• 행방불명 및 포로 : 80,000여 명[3]
미국:
• 전사 : 27,704명(비전투사망 8,370명 포함)
• 부상 : 79,526명
• 행방불명 : 4,442명
• 포로 : 6,656명 [4]
미국(중국 및 북한 추정치):
• 전사, 비전투사망, 부상, 행방불명, 전쟁포로 포함 : 390,000명 [5]
영국:
• 전사 : 1,109명 [6]
• 부상 : 2,674명
• 행방불명 또는 전쟁포로 : 1,060명 [7]
터키:
• 전사 : 721명 [8]
• 부상 : 2,111명
• 행방불명 : 168명
• 포로 : 216명
총계: 474,000명 이상
나는 고향 잃은 피난민으로서
보도 매체를 볼때 마다 못 마땅하다.
요즘 언론을 보면
한국전쟁, 6.25전쟁. 6.25사변 등으로
표현이 제 각각이다.
이는 하나로 통일해 써야 하겠다.
명 하야 '痛恨의 김일성 남침전쟁'으로
'한국전쟁'이라는 말은
6.25의 발단을 잘 모르는 서양 사람들,
그리고 김일성의 기습남침을 희석시키려는 종북 좌파
<일부 전교조교사>들이 즐겨 쓰는 말인 것 같아서다.
그래서 교육이 잘 못되어
청소년들의 53%가 북침이라고
헷갈리고 있는 것이 아닌가???
6.25 동란은 분명
'痛恨의 김일성 남침전쟁'으로 써야 맞다.
'상기하자. 6.25 !! '
출처 : 소담 엔카
글쓴이 : 둔치 원글보기
메모 :
'6.25관련 사진,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 ~ 어찌 이 날을 잊으리오!~ (0) | 2013.07.06 |
---|---|
[스크랩] 아 ~ 어찌 이 날을 잊으리오!~ (0) | 2013.07.06 |
[스크랩] 2013 년 6, 25 60주년 기념행사 (0) | 2013.07.06 |
[스크랩] 침묵의 유엔 묘지 (0) | 2013.07.06 |
1953년 5월(停戰협정 직전) 오작도 점령했던 우리軍, NLL(북방한계선) 긋기 직전 '눈물의 철군' (0) | 201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