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戰時 1952年 여름 珍貴한 칼라 寫眞
사진들은 미 한국군사고문단(KMAG) 일원으로 한국에 온 육군 대위 '존 랜돌프 코플랜드
3세(John Randolph Coupland III)'가 1952년 여름 후방 지역의 군대와 그 주변 정경을 찍은
사료적 가치가 높은 귀중한 사진들이다.
1952년 여름, 전쟁은 3.8선에서 교착 상태이고 휴전 협상이 진행 중이 었으니 한국은 폐허
그 자체였었을 거다.
그는 당시 코닥 콜름이라는 칼라 필름을 사용했으며 최근에 다시 디지털 리마스터링한 것이다. 모두 280장의 가까운 사진을 찍었는데, 코닥 필름의 따뜻한 아나로그 감성이 묻어나는,
그 당시 피폐한 민초들과 군인들의 생활상을 생생한 칼러 화질로 볼 수 있어 흥미롭다.
'그래도 삶은 계속 된다.'는 말이 있듯이 당시 사람들도 전쟁의 폐허 속에서도 웃고, 울고, 애
낳고, 소풍 가고, 삶을 이어 아니, 견디어 냈고 그들이 바로 박정희 대통령의 영도하에 산업화의 기수가 되어 오늘날 우리들이 안락한 삶과 번영을 누리게 된 것이다.
사진 속의 그들도 60년 뒤의 한국이 지금처럼 변했을 거라고 상상이나 했을까?
부여 교차로에서 손 글씨로 쓴 커다란 이정표 간판.
표어가 그 시대상을 반영한다.
고딩 소풍.
60년 전이나 지금이나 똥폼 잡는 것은 똑같구나.
대구 근처 어느 시장.
구한 말이나 볼 수 있었던 백의 의상이 그 시절까지도 범용되는 사진을 보니 놀랍다.
서울과 지방, 도시와 시골의 생활 수준이 격차가 극심했던 걸로 추측된다.
현지 주민과 스님들이 도열해 환영하는 모습.
동원된 초딩 애들의 눈망울이 초롱초롱한 게 미래에 대한 희망을 엿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꿈이 실현 되어서 우리가 그 혜택을 받고 있다.
대구의 고딩들의 행진.
논산의 미 군사고문단 산하 제2신병훈련소.
열악한 시설로 인해 보기에는 포로 수용소같지만 미 교관이 통제하는 급조한 훈련소다.
포로가 아니고 논산의 제2신병훈련소에서 훈련 중인 신병들이다.
외국 불로그에선 포로로 포스팅 되어 있다.
'6.25관련 사진,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비목과 6.25 (0) | 2015.06.26 |
---|---|
[스크랩] 世界各國 6.25 韓國戰爭 參戰記念碑 (0) | 2015.06.26 |
한국전쟁 (0) | 2015.06.24 |
6·25때 첩보임무 ‘네코부대’를 아십니까 (0) | 2015.06.11 |
다시보는 한국전쟁(韓國 戰爭) (0) | 2015.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