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 朝日 TV방송 제작
두고 두고 볼 자료인 것 같아요
2013년 3월 28일 방영한
◈安重根 의사의一代記를 명쾌히 해설◈
안중근 의사는 1879년7월16일,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31세의 나이로 1910년3월26일
여순감옥에서 사형으로 생을 마감하신
우리의 자랑스런 영웅이자 애국자이자,
당시 대한독립군의 중장의 신분이었다.
1909년10월26일 하얼빈역에 아침 9시 도착,
러시아의 재무상과 회담예정의 날 아침에,
불과 5m의 거리에서 6발의 권총사격으로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을 암살했다.
그가 6차례의 재판을 받는 중에,
왜 그를 암살했나는 질문에 15가지의 이유를 명쾌히 설명,
당시 검찰관이나 형무소 헌병도
그를 존경하게 만들었던 사실이 동영상에 여실히 나온다.
동양평화론은, 그 당시 아무도 생각치 못한
명쾌한 새로운 세계지도를 그리고 있었다.
한중일 3개국이 경제통합하고, 통화도 단일통화를 채택하면
더욱 번성한다고 역설하기도 했다.
동영상의 하부에서는 일본의 학자도,
1910년8월22일의 한일합방은 지나친 것이었다고 시인한다.
이등박문이 하얼빈에 간 것은,
한일합방과 만주이권을 러시아와
담판하기 위해서였다고도 밝히고 있다.
나는 이 동영상을 우리나라 TV가 정식으로 방영하기를 바란다.
너무도 귀중하고 값진 내용이 가득하다.
우리 젊은이들이 반드시 보고 배워야 할 것이 충만되어 있다.
2013-11-29, jgchoi9999 해설추가함.
안중근이 1910년 3월 사형집행을 앞두고
흔들림 없는 심경을 술회한 자작 한시로
안태평의 한문교본 대가법첩에 기록되어 있다.
보물로 지정된 유묵
1. 백인당중유태화보물
제569-1호
百忍堂中有泰和
백 번 참는 집안에 태평과 화목이 있다.
중국 당(청) 고종이 운주 장공예(張公藝)의 집 당호(堂號)로,
9대가 한 집에 화목하게 산 것을 칭찬하며 지어 준 글이다.
5. 동양대세사묘현 유지남아기안면
화국미성유 강개 정략불개진가련
보물 제569-5호
東洋大勢思杳玄 有志男兒 豈安眠和局未成猶慷慨政 略不改眞可憐
동양대세 생각하매 아득하고 어둡거니
뜻 있는 사나이 편한 잠을 어이 자리,
평화시국 못 이룸이 이리도 슬픈지고
정략(침략전쟁)을 고치지 않으니 참 가엾도다.
9. 오로봉위필 삼상작연지 청천일장지 사아복 중시
보물 제569-9호
五老峯爲筆 三湘作硯池 靑天一丈紙 寫我腹中詩
오로봉으로 붓을 삼고 삼상의 물로 먹을 갈아
푸른하늘 한 장 종이 삼아 뱃속에 담긴 시를 쓰련다.
11. 사군천리 망안욕천 이표촌성 행물부정
보물 제569-11호
思君千里 望眼欲穿 以表寸誠 幸勿負情
임 생각 천 리 길에 바라보는 눈이 뚫어질 듯하오이다.
이로써 작은 정성을 바치오니 행여 이 정을 저버리지 마소서.
22. 국가안위 노심초사
보물 제569-22호
國家安危 勞心焦思
국가의 안위를 걱정하고 애태운다.
유묵 오른쪽에 증(贈) 안강(安岡) 검찰관이라 씌어져 있다.
이는 친절하게 대해 준 당시
뤼순법원 검찰관 야스오카에게 증정한 것이다.
야스오카 사후 장녀 우에노(上野)가 소장하다가
1976년 도쿄 국제한국연구원을 거쳐
남산 안중근의사기념관에 기증했다.
23. 위국헌신 군인본분
보물 제569-23호
爲國獻身 軍人本分
나라를 위하여 몸을 바침은 군인의 본분이다.
안중근 의사를 경호했던 일본군
헌병 지바 도시치(天葉十七)에게 써 준 유묵이다.
제대 후 지바는 안 의사의 인품과 사상에 감복하여
이 유묵을 일본에 가지고 가 사진과 함께 정성으로 모셨다.
그의 사후 미망인과 양녀 미우라(三浦)가
봉안하다가 구리고마의 다이린지(大林寺)를 거쳐
1980년 도쿄 국제한국연구원을 통하여
안중근의사기념관에 기증되었다.
24. 천여불수 반수기앙이
보물 제569-24호
天與不受 反受其殃耳
만일 하늘이 주는 것을 받지 않으면 도리어 벌을 받게 된다.
『춘추』 의전(春秋義戰)의
‘天與不取 反受其咎’(천여불취 반수기구)와 같은 뜻이다.
반드시 일본Asahi TV가 제작한 45분짜리
동영상을 꼭 보아야만 할 것이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이렇게 훌륭한 조상을 둔 우리는,
북한을 제외하고, 지금 자주독립이 되었고 잘살지만,
특히 자기 몸이나 도사리는 지식인들이나 당리당락과
사리사욕에만 눈이 먼 정치인들이 들끓고 있다.
도대체가 우리가 안중근 의사에 대해
무엇을 얼마나 깊이 알고 있었는지,
역사교과서는 이 동영상에 나오는 동양평화론의
골자를 소개나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실로, 분개하고 개탄하지 않을 수 없으며 지금이라도
안중근 의사의 고귀한 정신을 국민교육을 통하여
이어 받고 후세에게 가르쳐야 할 것이다.
-현당의 쉼터 블로그에서-
'역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실수가 낳은 역사적 사건 10가지 (0) | 2016.01.24 |
---|---|
[스크랩] 고려 우왕 1380년 진포해전[세계사상 최초의 함포 해전] (0) | 2016.01.23 |
중국에 있는 피라미드가 세계 最古이다. (0) | 2016.01.22 |
38선이 생긴 역사 (0) | 2016.01.22 |
Adam씨가 1950년대에 촬영한 칼러사진! (0) | 2016.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