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영암 도기박물관 영암 도기박물관 소재지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호정길 5 영암 도기 박물관은 1986년과 1996년 이화 여자 대학교 박물관에서 영암 구림리 요지를 발굴한 것을 계기로 탄생되었다. 구림도기가마터(사적 338호)는 8~9세기 대규모 도기제작장으로 생명의 흙 황토로 빚은 도기라는 틍.. 국보,보물,박물관,기념관,미술관 2016.03.27
[스크랩] 세계 문화 유산 불국사와 석굴암 佛國寺 와 石窟庵 世界文化遺産 1995年 指定 慶州 佛國寺 토함산(745m)의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 불국사는 1,440년전 신라 법흥왕 22년에 그 어머니 뜻에 따라 나라의 안정과 백성의 평안을 위하여 세워졌으며, 그후 신라 경덕왕 (742-764)때 재상 김대성이 다시 지어 절의 면모을 새롭게 하였다. 1.. 국보,보물,박물관,기념관,미술관 2016.03.27
◈우리나라의 세계 문화유산과 사적◈ ◈우리나라의 세계 문화유산과 사적◈ 史跡 巡禮 (1) 史跡 1호 慶州 鮑石亭址 경주 남산 서쪽 계곡에 있는 신라시대 연회장소로, 젊은 화랑들이 풍류를 즐기며 기상을 배우던 곳이다. 중국의 명필 왕희지는 친구들과 함께 물 위에 술잔을 띄워 술잔이 자기 앞에 오는 동안 시를 읊어야 하.. 국보,보물,박물관,기념관,미술관 2016.03.24
[스크랩] 사적 순례 - 북한산성 외 여러곳 ;; 史跡 巡禮 (5) 史跡 162호 북한산 성 백제가 수도를 하남 위례성으로 정했을 때 도성을 지키던 북방의 성이다. 백제 개로왕 5년(132)에 세워진 곳으로, 11세기 초 거란의 침입이 있을 때 현종이 고려 태조의 관을 이곳으로 옮겨 오기도 했다. 고려 고종 19년(1232)에 몽고군과의 격전이 있었고,.. 국보,보물,박물관,기념관,미술관 2016.03.23
[스크랩] 한국 天然 記念物 (1) - 소나무 天然 記念物 소 나 무 天然 記念物 103호 속리의 정이품송 속리산 법주사로 가는 길 한가운데 서 있는 속리의 정이품송은 나이가 약 600살 정도로 추정되는 소나무로, 높이 14.5m, 가슴높이 둘레 4.77m이다 이 소나무가 정이품송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세조 .. 국보,보물,박물관,기념관,미술관 2016.03.21
[스크랩] 사적 순례 - 유관순 열사 유적 - 기타 여러곳 史跡 巡禮 (3) 史跡 230호 유관순열사 유적 3·1운동 때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순국한 유관순 열사의 유적으로, 생가와 매봉교회, 유적비 그리고 봉화를 올렸던 봉화터가 있다. 유관순 열사는 대대로 내려오는 선비가문에 독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났다. 1916년에는 선교사의 도움으.. 국보,보물,박물관,기념관,미술관 2016.03.21
[스크랩] 한국 世界文化遺産 - 昌德宮 昌德宮 The Changdeokgung Palace Complex 世界文化遺産 1997年 指定 창덕궁은 조선왕조 제3대 태종 5년(1405) 경복궁의 이궁으로 지어진 궁궐이며 창건시 창덕궁의 정전인 인정전, 편전인 선정전, 침전인 희정당, 대조전 등 중요 전각이 완성되었다. 그 뒤 태종 12년(1412)에는 돈화문이 건립되었고, 세.. 국보,보물,박물관,기념관,미술관 2016.03.19
[스크랩] 한국 世界文化遺産 - 佛國寺 와 石窟庵 佛國寺 와 石窟庵 世界文化遺産 1995年 指定 慶州 佛國寺 토함산(745m)의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 불국사는 1,440년전 신라 법흥왕 22년에 그 어머니 뜻에 따라 나라의 안정과 백성의 평안을 위하여 세워졌으며, 그후 신라 경덕왕 (742-764)때 재상 김대성이 다시 지어 절의 면모을 새롭게 하였다. .. 국보,보물,박물관,기념관,미술관 2016.03.17
[스크랩] 사적 순례 ;; 史跡 巡禮 (2) 史跡 117호 경복궁 조선시대 궁궐 중 가장 중심이 되는 곳으로 태조 3년(1394) 한양으로 수도를 옮긴 후 세웠다. 1412년 태종은 경복궁의 연못을 크게 넓히고 섬 위에 경회루를 만들었다. 이 곳에서 임금과 신하가 모여 잔치를 하거나 외국에서 오는 사신을 대접하도록 하였으.. 국보,보물,박물관,기념관,미술관 2016.03.17
國寶 87호 금관총금관 金冠 및 裝飾品 國寶 國寶 87호 금관총금관 金冠塚金冠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이 금관(金冠)과 관모(冠帽)는 모두 금판(金板)을 오려서 금실·금못으로 엮고 붙였다. 금관(金冠) 표면 전체에는 곡옥(曲玉)들을 꿰어 달았으며, 대륜(臺輪) 좌우에는 끝에 비취 곡옥이 달린 긴 수식(垂.. 국보,보물,박물관,기념관,미술관 2016.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