男の艶歌 (남자엔카)
作詞 : なかにし禮 作曲 : 猪俣公章
歌 : 坂本冬美 편집 : Enka지킴이
(1) 天に もらった 財寶の 山を 하늘에서 받은 재물의 산을 텐니 모랏타 타카라노 야마오 棄てて 悔いない 友がいる 버려서 후회하지 않는 친구가 있다 스테테 쿠이나이 토모가이루 時代 おくれと 笑われ ようと 시대 뒤 떨어졌다는 우스개거리 인데도 지다이 오쿠레토 와라와레 요우토 義理と 人情と 浪花節 의리와 인정과 일본 나니와부시 기리토 닌죠오토 나니와부시 それが 男の 花絆 그것이 남자의 아름다운 인연 소레가 오토코노 하나키즈나
(2) 路地に かくれて 見送る あの娘 골목에 숨어서 전송하는 그 딸에 로지니 카쿠레테 미오쿠루 아노코 俺は あばよと 背なで 言う 나는 잘있거라 떠나면서 말한다 오레와 아바요토 세나데 유우 戀に 少しは 似ている けれど 사랑은 조금 비슷하지만 코이니 스코시와 니테이루 케레도 切れば 血の 出る 俠氣は 베이면 피가 나오는 사나이는 키레바 치노 데루 오토코기와 女 なんかにゃ わかるまい 여자 에게는 알 리 없다 온나 난카냐 와카루마이
(3) 俺が 花なら お前は 風だ 내가 꽃이라면 너는 바람 오레가 하나나라 오마에와 카제다 そして 命は 春の 夢 그리고 생명은 봄의 꿈 소시테 이노치와 하루노 유메 男 同士の 相合 傘で 남자끼리 한 우산을 쓰고 오토코 도오시노 아이아이 가사데 地獄 參りの 道行きは 지옥 참배 가는 길에 지고쿠 마이리노 미치유키와 花に よりそう 風 ひとつ 꽃에 다가오는 바람 한점 하나니 요리소우 카제 히토쓰
단어설명
※ 艶歌( えんか ) : 明治시대에서 昭和초기에 걸쳐, 자유·민권 운동가들이
그들의·주장을 노래로 만들어 거리에서 부르던 노래로
현재는 유행가의 표현이며 한자도 演歌로 바뀜.
※ 浪花節( なにわぶし) : 일본 대중예술의 한가지로 반주와함께 주로 의리나
인정을 주로 부르는 창(唱)임
편집: Enka지킴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