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아 ~ 어찌 이 날을 잊으리오!~ ▲ 1950년 육이오 전쟁시 우리나라 지원국들 육 이오의 전쟁 그 슬픔을 누가 알겠습니까 일 천만 이산 가족의 비통을 이런 만행을 저지른 자가 바로 김일성 김정일 김정운 삼대에 걸쳐 만행을 반복하며 오늘부터 미사일을 어디다 쏠 것인지 일촉 즉발의 긴장감이 감도는 차제에 정치권은 .. 6.25관련 사진,동영상 2013.07.06
[스크랩] Re: 어제가 痛恨의 6.25, 63주년이다. 노량진 쪽에서 본 부서진 한강 철교 이때 무수한 양민이 죽었다. ▲ 1950.10.22. 평양, 북한주민의 학살현장. 누가 그들을 죽였을까 !! 피해 상황 대한민국: • 전사 : 58,127명 • 부상 : 175,743명 • 행방불명 및 포로 : 80,000여 명[3] 미국: • 전사 : 27,704명(비전투사망 8,370.. 6.25관련 사진,동영상 2013.07.06
[스크랩] 2013 년 6, 25 60주년 기념행사 ★ 전우가 남긴 한 마디 생사를 같이했던 전우야 정말 그립구나 그리워 총알이 빗발치던 전쟁터 정말 용감했던 전우다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정의의 사나이가 마지막 남긴 그 한마디가 가슴을 찌릅니다 이 몸은 죽어서도 조국을 정말 지키겠노라고 전우가 못다했던 그 소망 내가 이루.. 6.25관련 사진,동영상 2013.07.06
1953년 5월(停戰협정 직전) 오작도 점령했던 우리軍, NLL(북방한계선) 긋기 직전 '눈물의 철군' 1953년 5월(停戰협정 직전) 오작도 점령했던 우리軍, NLL(북방한계선) 긋기 직전 '눈물의 철군' 입력 : 2013.07.04 03:00 [본지, 최일도 목사 사진 입수] 우리 軍이 현재의 NLL 위쪽 서해섬 지킨 모습 첫 공개 유엔司, 北에 일부 섬 양보한 NLL 긋자 우리측 물러나 해군력 궤멸됐던 北, NLL 덕분에 유엔군.. 6.25관련 사진,동영상 2013.07.04
[스크랩] 6.25 國軍은 죽어서 말한다 더 많은 작품을 원하시면 아래의 병아리를 클릭해 주세요~ . 國軍은 죽어서 말한다 산 옆 외따른 골짜기에 혼자 누워있는 국군을 본다. 아무 말, 아무 움직임 없이 하늘을 향해 눈을 감은 국군을 본다. 누른 유니폼 햇빛에 반짝이는 어깨의 표지 그대는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소위였고나 가.. 6.25관련 사진,동영상 2013.06.26
"도대체 6·25에는 왜 끼어들었을까"… 중국 지식인의 한탄 "도대체 6·25에는 왜 끼어들었을까"… 중국 지식인의 한탄 중국이 바라본 6·25 담은 논픽션 참전자 위주의 접근은 색다르지만 국제학계서 사라진 北侵說에 편향 "미국에 이겼다"는 승리사관도 여전 한국전쟁 왕수쩡 지음|나진희·황선영 옮김 글항아리|1000쪽|4만원 이 책의 중국어 원.. 6.25관련 사진,동영상 2013.06.25
6·25때 계급-군번 없이 北침투… 정찰-교란작전 중 6000명 전사 6·25때 계급-군번 없이 北침투… 정찰-교란작전 중 6000명 전사 생존 2000∼3000명 보상 길 열려 중공군 복장으로 北침투 국가기록원은 6·25전쟁 63주년을 맞아 24∼30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6·25전쟁 관련 희귀 기록물 전시회를 연다. 사진은 북한으로 침투하기 직전의 미군 산하 8240부.. 6.25관련 사진,동영상 2013.06.25
[스크랩] 내일이면 `동족상잔의 비극` 6.25 사변이 일어 난지가 벌써 63돌이 됩니다. 이를 계기로 6.25 사변을 다시 한 번 되 새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용어 사용에 있어, 6.25 남침 전쟁이 아닌 '한국전쟁'이라는 말은 사실을 햇깔리게 한다. '이말은 쌍방이 밀고 당기다가 서로 의견 합치가 안되자 싸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방송에서도 아나운서마.. 6.25관련 사진,동영상 2013.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