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 선생님이 일러준 말씀 허준 선생님이 일러준 말씀 1. 곡기(穀氣)가 원기(元氣)를 이기면 살이 찌게되며 장수하지 못한다. 이와 반대로 원기가 곡기를 이기면 살은 찌지 않고 장수한다. 2. 나라를 다스리는 어진 재상이 되지 못할 바에는 사람과 병을 다스리는 명의가 되겠다. 3. 5가지 맛 중에서 절대로 없어서는 .. 건강,식품 2014.04.13
[스크랩] 내 몸 위해, 휴식 스케줄 먼저 잡아라 내 몸 위해, 휴식 스케줄 먼저 잡아라 누구나 실천 가능한 10가지 ▲ 황성주 사랑의병원 병원장 이제 건강은 저절로 주어지는 게 아니라 올바른 전략을 세워 실천해야 누릴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어지간히 노력해서는 건강을 제대로 지킬 수 없는 것이다. 청소년부터 중장년층까지 누구나 .. 건강,식품 2014.04.11
먹어두면 藥이 되는 12 먹어두면 藥이 되는 12 음식은 두말말고 마음껏 먹는 것이 藥이 된다 묻지도 말고, 따지지도 말고, 그냥 드시라 !! 건강한 삶은 모두의 꿈이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건강을 당연하게 주어지는 선물로 착각하고 살아가기 때문이다.의사들.. 건강,식품 2014.04.09
인간이 1년동안 잡아먹는 동물의 수 인간이 1년동안 잡아먹는 동물의 수 10위 낙타 약 170만 마리 9위 물소 약 2천4백만마리 8위 소(암소) 약2억9천300만마리 7위 염소 약 3억9천8백만마리 6위 양 약5억1천8백만 마리 5위 칠면조 약6억3천3백만마리 4위 토끼 약11억 마리 3위 돼지 약13억마리 2위 오리 약26억 마리 1위 닭 약 520억 마리 건강,식품 2014.04.07
의과대학 교수들이 만든 의학 만화 --- ★ 의과대학 교수들이 만든 의학 만화 ★ ※ 병명에다가 클릭하면 증상과 치료법이 만화로 그려져 있습니다. http://m.cafe.daum.net/speechcare/mpXt/1795?q=%EC%9D%98%EA%B3%BC%EB%8C%80%ED%95%99+%EA%B5%90%EC%88%98%EB%93%A4%EC%9D%B4+&sns=kakaotalk 건강,식품 2014.04.05
마른김 한장에 이런 효능이 마른김 한장에 이런 효능이 김은 몸에 좋은 해조류의 대표주자다. 김의 효능은 비타민 A의 함량으로 단번에 알 수 있다. 베타카로틴이 풍부한 말린 김 한 장(약 2g)에는 비타민 A가 140IU 들어 있는데, 놀랍게도 피망 2개분에 해당하는 양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김 한 장으로 비.. 건강,식품 2014.04.03
生活 속의 體操 ♣ 生活 속의 體操 ♣ 1. 두통편 http://youtu.be/bPIECVYKthM 2. 기억력 편 http://youtu.be/vv2S1mPiE0Q 3. 손발저림 편 http://youtu.be/NoOi4XQWx6o 4. 중풍 편 http://youtu.be/kmdkaDhiafY 5. 금연 편 http://youtu.be/469ejt7BopQ 6. 면역력 편 http://youtu.be/7QObfFR6qzk 7. 환절기감기 편 http://youtu.be/N5EPxNbO4gI 8. 요통 편 http://youtu.be/v-oOqa.. 건강,식품 2014.03.30
[스크랩] 라면에 계란 넣는 당신에게 경고한다. 라면에 계란 넣는 당신에게 경고한다. 글 : 건강나래 이균재 기자 ▲ 저는 라면에 계란을 넣지 않았습니다. 왜일까요?? ^^ 그 이유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계란 없는 라면은 허전하지요? 여러분은 한 달에 몇 번이나 라면을 끓여 드시나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라면' 정말 정말 사랑하죠~ ♥.. 건강,식품 2014.03.23
365일 잔병치레 걱정 없는 손ㆍ발 마사지 ... 365일 잔병치레 걱정 없는 손ㆍ발 마사지 ... 머리가 무겁고 콕콕 쑤시며 아플 때 뭉쳐있는 목의 근육을 풀어주면 혈액순환이 좋아져 머리가 맑아진다. 특히 백회부위를 지압하면 두통이나 머리가 무거운 증상, 어지럼증 등에 효과가 좋다. 편도선이 부어서 생기는 통증과 목이 메인 듯한 .. 건강,식품 2014.03.20
[스크랩] 100세 장수의 근거들 100세 장수의 근거들 인간의 기대 수명은 지난 50년 사이에 거의 30~50년 늘어났다. 많은 사람이 이제 수명 연장은 한계에 다다랐다고 말하지만, 미래학자들은 아직도 멀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보통 사람'이 120세나 심지어 150세를 사는 시대가 멀지 않았다고 한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는 .. 건강,식품 2014.03.19